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팀즈(Teams) 소개 및 다운로드, 설치, 사용 방법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제품군을 사용하는 회사나 학교가 많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제품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들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존재하는데, 학교나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 제품군을 이용하는 경우 아래 제품들을 한꺼번에 통합적으로 사용하곤 한다.
▶ Microsoft 아웃룩(Outlook): 메일, 일정 및 연락처 관리
▶ Microsoft 원 드라이브(One Drive): 파일 업로드용 저장소 서비스
▶ Microsoft 팀즈(Teams): 채팅 및 회의(화상 통화)
팀즈(Teams)는 팀 내에서 채팅이나 화상 회의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그중에서도 팀즈는 "채팅" 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국내 많은 스타트업이 사용하는 슬랙(Slack)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실제로 Teams의 채팅 기능을 이용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져왔다.)
물론 Teams는 채팅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몇 시에 어떤 회의실에서 미팅이 있는지 [회의 예약]을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시간대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편리한 화면 공유 및 화상 채팅 기능을 제공한다. 실제로 다수의 인원과 동시에 화상 채팅을 해도 크게 끊김 없이 진행할 수 있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Teams의 경우 [공동 작업] 기능도 제공한다. 동시에 같은 화면을 보면서 문서 작업을 할 수 있고, 상대방의 화상 캠(얼굴)을 보면서 그와 동시에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면접을 볼 때 특정한 회사에서 이러한 공동 문서를 이용해 코딩 테스트를 봤던 기억이 있다. 화상 면접에 참여했더니 공동 문서에 문제가 몇 개 적혀 있고, 해당 면접관과 화면을 공유하는 상황에서 문제를 푸는 과정을 보여주는 방식의 면접이었다. 이런식으로 재미있게 공동 작업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는게 신기했다.
※ Microsoft Teams 설치 방법 ※
Microsoft Team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식 다운로드 홈페이지로 이동하면 된다.
▶ Microsoft Teams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microsoft.com/ko-kr/microsoft-teams/download-app
이후에 자신의 디바이스에 맞는 앱을 다운로드한다.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PC를 쓰고 있다면, [데스크톱용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해당 링크로 들어간다.
Microsoft Teams의 경우 데스크톱 버전과 스마트 폰 버전의 기능이 사실상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Teams를 사용하는 경우 [Windows 10용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설치 프로그램은 별다른 복잡한 과정 없이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이후에 로그인을 진행한다. 이때 특정한 학교나 회사의 이메일 주소로 로그인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해당 조직(학교 및 회사)에 맞게 접속이 진행된다.
설치 이후에 로그인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이 [모든 앱에 로그인 상태 유지]라는 메시지가 등장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때 학교나 회사에서 별도의 요구 사항이 없다면, 조직이 내 디바이스(컴퓨터)를 관리하지 못하도록 하고, 해당 앱(Teams 데스크톱 프로그램)에만 로그인을 하도록 하는 것을 추천한다.
※ Teams 사용 방법 ※
Teams 프로그램을 설치 완료하고, 로그인 및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등장한다. 이때 각 탭 별로 기능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활동: 나를 언급한 사람이 있거나, 내가 작성한 글에 반응(좋아요 등)을 보인 사람이 있다면, 해당 사항에 대한 알림이 온다.
▶ 채팅: [단체 채팅] 및 [개인 채팅]을 주고받을 수 있다. 말 그대로 카카오톡의 채팅과 같은 채팅 기능이다. 그냥 채팅방을 하나 만든 뒤에, 원하는 사람(조직원)을 추가하여 해당 사람이 모인 방에서 자유롭게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의 DM과 유사하다.
▶ 팀: 조직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팀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팀에 참가]하거나, 새롭게 [팀 생성]을 진행할 수 있다. 팀을 만들면 팀에 새로운 멤버를 추가할 수 있고, 팀 내에서 다양하게 여러 개로 [채널 추가]를 할 수 있다. 이때 채널(channel)이란, 슬랙에서의 채널과 동일한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다르게 비유하자면 페이스북 그룹과 유사하다. 해당 채널 내에서 다양한 게시물을 올릴 수 있고, 그렇게 업로드 된 게시물에 여러 명이 댓글을 달 수 있다.
▶ 일정: 자신이 참여해야 하는 회의(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회의)를 포함하여 본인의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특정한 날짜에 미팅을 잡은 뒤에 나를 초대했다면, 내 일정에도 해당 내용이 보이게 된다.
▶ 통화: 조직 내에서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여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 파일: 나에게 공유되었던 파일들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Chrome) 사용자 추가 및 선택 방법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한 웹 사이트에 서로 다른 계정으로 동시에 로그인하기) (0) | 2021.11.20 |
---|---|
쿠팡(Coupang)에서 주문한 상품 교환/환불 방법 설명 및 후기 (1) | 2021.11.20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팀즈(Teams) 소개 및 다운로드, 설치, 사용 방법 (0) | 2021.11.13 |
GAN을 학습할 때 유의할 점들: Batch Size, Loss, Optimizer 등 (0) | 2021.10.31 |
JVM (Java Virtual Machine)에서 Stack Size 및 Heap Size 변경하기 (0) | 2021.10.24 |
프로그래밍/알고리즘 문제 출제할 때 꿀 팁 - testlib.h 사용 방법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