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잡이개발자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필터(Filter) 함수를 이용하여 고객(Customer) 검색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pp.js


  본적으로 검색 창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스테이트(State)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값 변경 처리 함수가 필요합니다. 바로 함수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handleValueChange(e) {
let nextState = {};
nextState[e.target.name] = e.target.value;
this.setState(nextState);
}


  이후에 생성자(Constructor)에서 이를 바인딩(Binding) 처리해주시면 됩니다.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ustomers: '',
completed: 0,
searchKeyword: ''
}
this.stateRefresh = this.stateRefresh.bind(this);
this.handleValueChange = this.handleValueChange.bind(this)
}


  이후에 <InputBase>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InputBase
placeholder="검색하기"
classes={{
root: classes.inputRoot,
input: classes.inputInput,
}}
name="searchKeyword"
value={this.state.searchKeyword}
onChange={this.handleValueChange}
/>


  지금까지는 단순히 고객 스테이트가 변경되면 전체 고객을 바로 보여주는 식으로 코드가 동작했습니다. 이제는 전체 고객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부분을 render() 함수의 가장 윗 부분에서 새롭게 명시해주도록 하겠습니다.


const filteredComponents = (data) => {
data = data.filter((c) => {
return c.name.indexOf(this.state.searchKeyword) > -1;
});
return data.map((c) => {
return <Customer stateRefresh={this.stateRefresh} key={c.id} id={c.id} image={c.image} name={c.name} birthday={c.birthday} gender={c.gender} job={c.job} />
});
}


  이후에 <TableBody> 부분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TableBody>
{this.state.customers ?
filteredComponents(this.state.customers) :
<TableRow>
<TableCell colSpan="6" align="center">
<CircularProgress className={classes.progress} variant="determinate" value={this.state.completed} />
</TableCell>
</TableRow>
}
</TableBody>


  마지막으로 새로운 고객이 추가된 경우 검색 창 내용도 비워질 수 있도록 처리하겠습니다.


stateRefresh() {
this.setState({
customers: '',
completed: 0,
searchKeyword: ''
});
this.callApi()
.then(res => this.setState({customers: res}))
.catch(err => console.log(err));
}


※ 실행 결과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금까지 강의를 잘 따라오신 여러분들은 다음과 같이 완성된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될 거예요.


※ 완성된 프로젝트 ※



※ 복습하기 ※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가면서 배웠던 큼직한 요소들에 대해서 복습을 해봅시다!


1) React 및 파이어베이스 호스팅


  본 강좌의 핵심이었던 React 개발 및 파이어베이스 호스팅에 대해서 잊으시면 안 돼요. React에서 다루는 각 데이터를 파이어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했으며 파이어베이스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해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었어요.



2) 플라스크(Flask) API 서버 구축


  이후에 우리는 AWS EC2를 이용하여 플라스크에 워드 클라우드 API를 달아서 구동시켰습니다. 프리 티어를 이용해 무료로 서버를 구축하고, 이에 웹 서버를 올리는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API를 구축했답니다.



3) 클라우드 플레어(Cloud Flare) HTTPS 서비스


  이후에는 도메인 주소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플레어 서비스를 이용해서 우리의 API 서버에 HTTPS를 입히는 과정을 거쳤어요.



4) 파이어베이스(Firebase)


  파이어베이스(Firebase)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5)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우리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웹을 앱 형태로 배포하기 위하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해 웹 앱을 개발하고, APK 파일을 추출했어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만들었던 웹 애플리케이션을 앱(App) 형태로 배포하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빈 액티비티 형태로 프로젝트를 구성합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은 3개의 소스코드를 작업하시면 됩니다.


  먼저 레이아웃부터 작업해주시면 됩니다.


▶ activity_main.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android.support.constraint.Constraint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tools:context=".MainActivity">

<WebView
android:id="@+id/web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android.support.constraint.ConstraintLayout>


▶ MainActivity.java

package tk.wordcloudpython.wordcloud;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net.Uri;
import android.support.v7.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ebkit.ValueCallback;
import android.webkit.WebChromeClient;
import android.webkit.WebSettings;
import android.webkit.WebView;
import android.webkit.WebViewClient;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private WebView webView;
private ValueCallback<Uri> filePathCallbackNormal;
private ValueCallback<Uri[]> filePathCallbackLollipop;
private final static int FILE_CHOOSER_NORMAL_REQ_COD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FILE_CHOOSER_LOLLIPOP_REQ_CODE = 2;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webView = (WebView) findViewById(R.id.webView);
/* 웹 세팅 작업하기 */
WebSettings webSettings = webView.getSettings();
webSettings.setJavaScriptEnabled(true);
webSettings.setJavaScriptCanOpenWindowsAutomatically(true);
webSettings.setAllowFileAccessFromFileURLs(true);
webSettings.setSaveFormData(false);
webSettings.setSavePassword(false);
webSettings.setUseWideViewPort(true);
webSettings.setSupportMultipleWindows(true);
webSettings.setLayoutAlgorithm(WebSettings.LayoutAlgorithm.SINGLE_COLUMN);
/* 리다이렉트 할 때 브라우저 열리는 것 방지 */
webView.setWebViewClient(new WebViewClient());
webView.setWebChromeClient(new WebChromeClient() {
// 안드로이드 3.0 이상
public void openFileChooser( ValueCallback<Uri> uploadMsg, String acceptType) {
filePathCallbackNormal = uploadMsg;
Intent i = new Intent(Intent.ACTION_GET_CONTENT);
i.addCategory(Intent.CATEGORY_OPENABLE);
i.setType("text/plain");
startActivityForResult(Intent.createChooser(i, "File Chooser"), FILE_CHOOSER_NORMAL_REQ_CODE);
}
// 안드로이드 4.1 이상
public void openFileChooser(ValueCallback<Uri> uploadMsg, String acceptType, String capture) {
openFileChooser(uploadMsg, acceptType);
}
// 안드로이드 5.0 이상
public boolean onShowFileChooser(
WebView webView, ValueCallback<Uri[]> filePathCallback,
WebChromeClient.FileChooserParams fileChooserParams) {
if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
filePathCallbackLollipop.onReceiveValue(null);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
filePathCallbackLollipop = filePathCallback;
Intent i = new Intent(Intent.ACTION_GET_CONTENT);
i.addCategory(Intent.CATEGORY_OPENABLE);
i.setType("text/plain");
startActivityForResult(Intent.createChooser(i, "File Chooser"), FILE_CHOOSER_LOLLIPOP_REQ_CODE);
return true;
}
});
/* 웹 뷰 띄우기 */
webView.loadUrl("https://wordcloud-e11f9.firebaseapp.com/");
}

public void onBackPressed() {
if (webView.canGoBack()) webView.goBack();
else finish();
}

@Override
protected void onActivityResult(int requestCode, int resultCode, Intent data) {
if (resultCode == RESULT_OK) {
if (requestCode == FILE_CHOOSER_NORMAL_REQ_CODE) {
if (filePathCallbackNormal == null) return;
Uri result = (data == null || resultCode != RESULT_OK)? null : data.getData();
filePathCallbackNormal.onReceiveValue(result);
filePathCallbackNormal = null;
} else if (requestCode == FILE_CHOOSER_LOLLIPOP_REQ_CODE) {
if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return;
filePathCallbackLollipop.onReceiveValue(WebChromeClient.FileChooserParams.parseResult(resultCode, data));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
} else {
if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
filePathCallbackLollipop.onReceiveValue(null);
filePathCallbackLollipop = null;
}
}
}
}


▶ AndroidManifest.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tk.wordcloudpython.wordcloud">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Theme.AppCompat.NoActionBar">
<activity android:name=".Main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MAIN"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LAUNCHER" />
</intent-filter>
</activity>
</application>

</manifest>


  이제 안드로이드 애뮬레이터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다만 파일 선택을 하고 싶어도 다음과 같이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애뮬레이터로 파일을 옮기기 위해서 일단 하나의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겠습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오른쪽 아래의 [Device File Explorer] 탭을 열어서 [sdcard] 폴더에 텍스트 파일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우클릭 이후에 업로드(Upload)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제 다시 텍스트 파일 업로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텍스트 파일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추가된 텍스트 파일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공적으로 워드 클라우드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PK 파일 배포하기 ※


  실제로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 등에 배포하기 위해서는 APK 파일로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활용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APK 파일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Build] 탭에서 APK 파일을 추출하는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앱 번들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 APK 파일로 추출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PK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키 페어를 생성해주셔야 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경로에 키를 만들어 줄 거예요.



  키를 생성할 때는 키를 생성한 사람에 대한 서명 정보를 기입해주셔야 합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해당 키로 APK 파일을 생성해주시면 됩니다.




  약간의 시간이 흐른 뒤에 빌드(Build)가 끝나면 릴리즈 된 APK 파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깃에 업로드하기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깃에 업로드하여 관리하는 방법 또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깃 프로젝트를 설정할 때는 루트 프로젝트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ADD 및 COMMIT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커밋을 하실 때에는 [Unversioned Files]로 표시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환경 설정 파일들도 함께 커밋해주세요.



  커밋 이후에는 푸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푸시를 하실 때에는 깃 허브(Git Hub)의 원격지 주소로 푸시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Define Remote]를 선택합니다.



  이후에 깃 허브(Git Hub)에 하나의 리포지터리를 만들어 주시고, 이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전체 파일들을 다 푸시해주시면 다음과 같이 깃 허브에 프로젝트가 등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완성된 프로젝트를 클론(Clone)하는 방법 ※


  이후에 완성된 프로젝트를 다른 개발 환경에서 클론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클론 받기 위한 주소를 넣고, 특정한 폴더로 프로젝트를 다운로드 해주세요.




  이후에 다음과 같이 클론 된 소스코드를 통해 프로젝트를 구성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계속 다음(Next)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클론(Clone)까지 다루어 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기존 소스코드의 문제점 확인 ※


  가장 먼저 리액트(React) 소스코드에서 API 경로를 AWS EC2의 경로로 바꾸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기존에 존재하던 build 폴더를 제거한 뒤에 다시 yarn build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그리고 firebase deploy 명령어를 입력하여 배포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배포된 경로로 접속하면 [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이 HTTPS 미설정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이러한 오류 메시지는 파이어베이스가 HTTPS를 지원하지만 우리의 API 서버는 HTTPS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플라스크(Flask) 웹 서버도 HTTPS를 지원하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 FREENOM 서비스를 이용해 무료 도메인 사용하기 ※


  ▶ 프리넘 서비스: https://freenom.com


  프리넘 서비스는 무료로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HTTPS를 사용하기 위한 초석이 되어주므로 일단 도메인부터 구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 이후에 wordcloudpython라는 도메인을 사용하겠다고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tk 도메인을 채택하겠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무료로 도메인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매 이후에는 다음과 같이 [My Domains] 탭에서 자신이 구매한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타겟(Target) 주소로 우리의 AWS EC2 서버 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이후에는 통상적으로 약 5분 뒤에 도메인 설정이 완료됩니다. 다음과 같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플라스크 API가 동작합니다.



※ 도메인에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Cloud Flare 사용하기 ※


  ▶ Cloud Flare 가입: https://dash.cloudflare.com/sign-up


  클라우드 플레어에 가입한 이후에 HTTPS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우리가 사용하게 된 무료 도메인을 사이트(Site)로 추가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클라우드 플레어가 자동으로 DNS 레코드를 얻어오게 됩니다.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후에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무료 플랜(FREE PLAN)을 설정해주겠습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wordcloudpython.tk라는 우리의 도메인을 52.79.163.195라는 AWS EC2 IP 주소로 연결해주었습니다. 이로써 결과적으로 Cloud Flare의 DNS 서버에 wordcloudpython.tk라는 쿼리가 들어오면 52.79.163.195로 연결을 진행해주는 것입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기존의 네임 서버(Name Server)를 바꾸어주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다음의 그림에서 요구하는 대로 FREENOM 서비스의 네임 서버를 매핑해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Nameservers] 탭에서 커스텀 네임 서버(Custom Name Server)로 클라우드 플레어의 DNS 주소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후에 Cloud Flare에서 DNS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Re-check now] 버튼을 누른 뒤에 약간의 시간을 기다리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이 완료되면 이메일로 설정 완료 메시지가 나온다고 하네요. 일반적으로 1시간 안에 설정이 완료됩니다.




  결과적으로 잠시 후에 Cloud Flare에서 새로고침을 해보시면 설정이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Cloud Flare는 HTTPS로 요청(Request)을 받아서 우리의 AWS EC2 서버의 80번 포트로 패킷을 전달해주게 됩니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플라스크(Flask) 웹 서버를 80번 포트로 열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보안 그룹에서 80번 포트를 허용해주시면 됩니다.



  당연히 플라스크의 소스코드도 80번 포트를 이용하도록 수정하셔야 해요.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80번 포트로 동작하도록 서버를 구동시키면 됩니다.



※ HTTPS 접속 확인 ※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HTTPS로 접속을 해보시면 성공적으로 플라스크 서버가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 API 서버의 URL을 새로운 경로로 바꾸어 다시 배포해주시면 됩니다.





  최종적으로 AWS EC2에서 플라스크 웹 서버를 다시 구동시켜주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성공적으로 호스팅된 파이어베이스 서버에서 API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AWS EC2를 이용해 플라스크(Flask) 웹 서버를 구동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의 웹 서버는 로컬호스트(Localhost)에서만 동작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배포된 React 프론트 엔드와 정상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공인 주소를 가지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AW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AWS에 가입하여 다음과 같이 관리 콘솔(Management Console)로 들어갑니다.


▶ EC2 서비스 들어가서 인스턴스 만들기




  인스턴스를 만들 때는 우분투 리눅스 서버를 만드시면 됩니다.



  이후에 무료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프리 티어(Free Tier)로 서버를 생성하세요.




  [시작]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키 페어 설정 메시지가 나옵니다. 새로운 키 페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MyKeyPair]라는 이름으로 키 페어를 만들었어요.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인스턴스를 시작하시면 됩니다.



▶ EC2에 접속하기

  

  이제 방금 만든 키 페어를 이용해서 EC2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는 일반적으로 SSH 명령을 사용합니다.



  다만 접속하기 위해서는 방금 다운로드 받은 키 페어의 권한 설정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chmod 명령어로 쉽게 변경할 수 있으나, 윈도우는 상대적으로 복잡합니다. 일단 가장 먼저 키 페어 파일의 속성을 확인하여 [보안] 탭으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고급] 탭으로 들어가서 관리자 그룹을 제외한 모든 그룹의 상속을 없앤 뒤에 사용 권한을 제거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관리자 그룹만 남게 됩니다.



  이제 명령 프롬프트(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키 페어(Key Pair)를 이용해 인스턴스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 라이브러리 설치


  이제 파이썬 서버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복제합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합니다. 라이브러리 설치를 위하여 파이썬 패키지 관리 도구인 pip를 이용하면 됩니다. 또한 자연어 처리 라이브러리를 위해서 Java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pip

sudo pip3 install wordcloud

sudo pip3 install konlpy

sudo pip3 install matplotlib

sudo pip3 install flask

sudo pip3 install flask_cors

sudo apt install openjdk-8-jre

sudo apt install openjdk-8-jdk


▶ 웹 서버 실행하기


sudo python3 word_cloud.py



  결과적으로 서버가 구동되었습니다. 이제 이에 접속하기 위하여 보안 그룹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플라스크 웹 서버의 포트 번호인 5000번 포트를 열어 주시면 됩니다.



  이제 퍼블릭(Public) IP를 이용해 접속하시면 됩니다.



  5000번 포트로 접속하니 다음과 같이 웹 서버가 구동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AWS EC2를 활용해 파이썬 웹 서버를 구동시키게 되었습니다.


※ 파이썬 서버 항상 실행시키기 ※


  다만 현재의 소스코드에서는 SSH 프롬프트에서 나오는 순간 파이썬 프로세스가 죽게 됩니다. 따라서 항상 파이썬 프로세스가 동작하도록 처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는 파이썬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한 뒤에 소유권을 포기하면 됩니다.


  python3 word_cloud.py: 파이썬 서버 구동시키기

  Ctrl + Z: 프로세스 중지하기

  bg: 백그라운드에서 서버를 다시 구동시키기

  disown -h: 소유권 포기하기



※ 서버를 중지시키고 싶을 때는? ※


  서버를 중지시키고 싶을 때는 특정 포트 번호로 돌아가는 프로세스를 확인한 뒤에 해당 프로세스를 죽이면 됩니다.


  netstat -nap | grep {포트 번호}: 특정 포트 번호에서 돌아가는 프로세스를 확인하기

  kill -9 {프로세스 번호}: 특정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지난 소스코드 복습하기


2. 소스코드 수정하기


▶ AppShell.js


<MenuItem onClick={this.handleDrawerToggle}>
<Link component={RouterLink} to="/">
홈 화면
</Link>
</MenuItem>
<MenuItem onClick={this.handleDrawerToggle}>
<Link component={RouterLink} to="/texts">
텍스트 관리
</Link>
</MenuItem>
<MenuItem onClick={this.handleDrawerToggle}>
<Link component={RouterLink} to="/words">
단어 관리
</Link>
</MenuItem>


▶ Words.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Card from '@material-ui/core/Card';
import CardContent from '@material-ui/core/CardContent';
import Typography from '@material-ui/core/Typography';
import { withStyles } from '@material-ui/core/styles';
import Grid from '@material-ui/core/Grid';
import Button from '@material-ui/core/Button';
import Fab from '@material-ui/core/Fab';
import AddIcon from '@material-ui/icons/Add';
import Dialog from '@material-ui/core/Dialog';
import DialogActions from '@material-ui/core/DialogActions';
import DialogContent from '@material-ui/core/DialogContent';
import DialogTitle from '@material-ui/core/DialogTitle';
import TextField from '@material-ui/core/TextField';

const styles = theme => ({
fab: {
position: 'fixed',
bottom: '20px',
right: '20px'
},
});

const databaseURL = "https://react-example-55161.firebaseio.com/";

class Words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words: {},
dialog: false,
word: '',
weight: ''
};
}

_get() {
fetch(`${databaseURL}/words.json`).then(res => {
if(res.status != 200) {
throw new Error(res.statusText);
}
return res.json();
}).then(words => this.setState({words: words}));
}

_post(word) {
return fetch(`${databaseURL}/words.json`,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word)
}).then(res => {
if(res.status != 200) {
throw new Error(res.statusText);
}
return res.json();
}).then(data => {
let nextState = this.state.words;
nextState[data.name] = word;
this.setState({words: nextState});
});
}

_delete(id) {
return fetch(`${databaseURL}/words/${id}.json`, {
method: 'DELETE'
}).then(res => {
if(res.status != 200) {
throw new Error(res.statusText);
}
return res.json();
}).then(() => {
let nextState = this.state.words;
delete nextState[id];
this.setState({words: nextState});
});
}

componentDidMount() {
this._get();
}

handleDialogToggle = () => this.setState({
dialog: !this.state.dialog
})

handleValueChange = (e) => {
let nextState = {};
nextState[e.target.name] = e.target.value;
this.setState(nextState);
}

handleSubmit = () => {
const word = {
word: this.state.word,
weight: this.state.weight
}
this.handleDialogToggle();
if (!word.word && !word.weight) {
return;
}
this._post(word);
}

handleDelete = (id) => {
this._delete(id);
}

render() {
const { classes } = this.props;
return (
<div>
{Object.keys(this.state.words).map(id => {
const word = this.state.words[id];
return (
<div key={id}>
<Card>
<CardContent>
<Typography color="textSecondary" gutterBottom>
가중치: {word.weight}
</Typography>
<Grid container>
<Grid item xs={6}>
<Typography variant="h5" component="h2">
{word.word}
</Typography>
</Grid>
<Grid item xs={6}>
<Button variant="contained" color="primary" onClick={() => this.handleDelete(id)}>삭제</Button>
</Grid>
</Grid>
</CardContent>
</Card>
<br />
</div>
);
})}
<Fab color="primary" className={classes.fab} onClick={this.handleDialogToggle}>
<AddIcon />
</Fab>
<Dialog open={this.state.dialog} onClose={this.handleDialogToggle}>
<DialogTitle>단어 추가</DialogTitle>
<DialogContent>
<TextField label="단어" type="text" name="word" value={this.state.word} onChange={this.handleValueChange}/><br/>
<TextField label="가중치" type="number" name="weight" value={this.state.weight} onChange={this.handleValueChange}/><br/>
</DialogContent>
<DialogActions>
<Button variant="contained" color="primary" onClick={this.handleSubmit}>추가</Button>
<Button variant="outlined" color="primary" onClick={this.handleDialogToggle}>닫기</Button>
</DialogActions>
</Dialog>
</div>
);
}
}

export default withStyles(styles)(Words);


※ 실행 결과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까지 해서 리액트(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SC)를 이용해서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깃(Git)을 이용해서 소스코드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향후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한 뒤에 해당 저장소에 소스코드를 올리게 될 것입니다.


  일단 깃에 소스코드를 올리기 전에 전체 소스코드의 윤곽을 잡고 나서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간단히 소스코드를 수정하며 프로젝트의 윤곽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App.js ※


  App.js는 실질적인 웹 사이트 화면에 대한 내용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logo from './logo.svg';
import './App.css';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className="gray-background">
<img src={logo} alt="logo" />
<h2>Let's develop management system!</h2>
</div>
);
}
}

export default App;


※ App.css ※


  App.css 파일은 App.js와 연동되어 웹 사이트의 메인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의 디자인(Design)을 담당합니다. 저는 간단히 기존의 내용을 지운 뒤에 .gray-background라는 이름의 클래스(Class)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클래스는 웹 문서 내 각 요소의 디자인을 구분하기 위한 문법입니다.



.gray-background {
background: darkgray;
}


※ index.html ※


  이후에 index.html을 수정합니다. 기존의 index.html 파일은 온갖 주석으로 가득 차 있었을 거예요. 그러한 주석을 모두 지워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index.html 소스코드 내에는 <div id="root"></div>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root 영역에 실제로 App.js의 내용이 출력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link rel="shortcut icon" href="%PUBLIC_URL%/favicon.ico"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shrink-to-fit=no"
/>
<meta name="theme-color" content="#000000" />
<link rel="manifest" href="%PUBLIC_URL%/manifest.json" />
<title>React App</title>
</head>
<body>
<noscript>You need to enable JavaScript to run this app.</noscript>
<div id="root"></div>
</body>
</html>


※ README.md ※


  이어서 README.md 파일을 수정합니다. 이것은 깃 허브(Git Hub)에 올라가 출력될 내용입니다. 프로젝트의 소개, 설치 방법, 레퍼런스 등의 문구가 들어가는 공간이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 Management System

본 프로젝트는 React 강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고객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입니다.


  모든 소스코드를 저장해주신 뒤에 웹 사이트를 새로고침(F5) 해보시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깃으로 프로젝트 관리하기 ※


  이제 깃 허브에 저장소를 생성하여 우리 프로젝트를 관리해 봅시다.


  ▶ 깃 허브(Git Hub) 주소: https://github.com/


  깃 허브에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신 뒤에 [Create Repository]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말 그대로 소스코드가 올라갈 수 있는 하나의 저장 공간을 만들어 준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프로젝트의 이름만 지어 주신 뒤에 생성 버튼을 눌러주시면 다음과 같이 저장소가 생성됩니다.



  이후에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해서 가지고 있어주세요. 이제 VSC로 돌아와서 깃(Git) 탭으로 가보시면 우리가 수정한 소스코드의 내용이 모두 왼쪽 화면에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가 수정한 소스코드의 내역을 우리 컴퓨터의 로컬 저장소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커밋(Commit)을 해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커밋을 하고자 하는 소스코드를 먼저 추가해주세요.



  그리고 커밋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커밋 메시지로 'Create React Project'라고 지어주었어요.



  이후에 우리가 만든 깃 허브(Git Hub)의 저장소로 푸시(Push)하기 위해서 터미널을 열어줍시다.



  이제 아까 복사했던 저장소의 주소를 원격지 주소로 설정한 뒤에 푸시(Push)를 진행해주시면, 소스코드가 깃 허브에 업로드 됩니다.


  ▶ 깃 허브 원격지 설정: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ndb796/React-Management-System.git

  ▶ 깃 허브 원격지로 푸시: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푸시 이후에 깃 허브 저장소를 새로고침 해보시면 다음과 같이 소스코드가 모두 업로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드펜(Codepen)은 프론트 엔드(Front-End) 개발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굳이 우리의 로컬 컴퓨터에 개발환경을 구축하지 않아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웹 사이트 상에서 소스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 해 볼 수 있습니다.


  ▶ 코드펜 사이트: https://codepen.io/



  앞으로 작성할 다양한 프로젝트를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회원가입'부터 진행해주도록 합시다. [Sign Up for Free] 버튼을 누르시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저는 위와 같이 제 이메일 주소로 회원가입을 진행했습니다.



  회원가입 이후에는 메인 페이지로 이동해서 바로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저는 생성(Create) 버튼을 눌러서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드실 때에는 [Pen]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저는 바로 제목을 바꾸어주었고, 간단한 HTML 소스코드를 작성하여 저장(Save) 해보았습니다. 소스코드를 수정하면 알아서 화면이 새로고침 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리액트(React)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설정(Settings) 탭을 열어봅시다.



  기본적으로 리액트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므로 JavaScript 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바로 검색창에서 [react][react-dom]을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 React: 컴포넌트를 처리합니다.

  - React Dom: 웹 문서의 Dom에 렌더링을 진행합니다.


  추가를 해보시면 다음과 같이 성공적으로 CDN 경로를 불러옵니다.



  이어서 JSX 등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바벨(Babel)로 설정합니다.



  일단 세팅이 완료되었다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Hello React예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소스코드를 작성해주세요.


※ HTML 코드 ※


<div id="root"></div>


※ JavaScript 코드 ※


class HelloReact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

      <h1>Hello React!</h1>

    );

  }

}


ReactDOM.render(<HelloReact/>, document.getElementById('root'));




  이 때 컴포넌트는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중 하나입니다. React.Component라는 이름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리액트를 이용한다는 것은 이러한 다양한 리액트 라이브러리를 상속 받아서 활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바스크립트 ES6 버전부터 클래스가 도입되었으며 일반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동일하게 클래스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리액트(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의 LifeCycle과 API 호출  (3) 2019.01.04
React의 State  (0) 2018.12.25
React의 Component와 Props  (0) 2018.12.25
React에서 JSX란?  (0) 2018.12.25
React JS의 개요와 Hello World  (0) 2018.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