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잡이개발자

728x90
반응형

  AWS EC2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서버를 구동시키면 그것은 고정 IP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탄력적 IP(Elastic IP)를 이용해 고정 IP를 할당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탄력적 IP를 이용하지 않으면, 인스턴스(서버)를 중지하고 다시 실행시키면 IP가 변경되어 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납니다.


  실제로 운영 중인 서버인 경우, 서버를 중지(STOP) 했다가 다시 켰을 때 IP가 변경되어 버리면 매우 귀찮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정 IP를 할당 받기 위해서 탄력적 IP라는 것을 이용합니다. 탄력적 IP를 만들어 놓기만 하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과금이 되기 때문에 탄력적 IP는 꼭 필요한 만큼만 생성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한 번 실제로 구동 중인 AWS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를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는 탄력적 IP가 배정되지 않고, AWS가 임시로 할당해 준 퍼블릭 IP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탄력적 IP를 할당 받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탄력적 IP] 탭으로 이동하여 [새 주소 할당]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바로 한 번 할당을 진행하겠습니다.




  할당 이후에는 해당 탄력적 IP를 선택하신 뒤에 [주소 연결] 버튼을 눌러서 특정한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기존에 존재하던 AWS EC2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해당 탄력적 IP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탄력적 IP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끔 자신이 AWS EC2로 운영하고 있는 서버의 지역(Region)을 바꾸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기존의 서버를 [오하이오]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를 [서울]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 목표입니다.



※ 인스턴스로 이미지 만들기 ※


  AWS EC2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한 인스턴스의 지역을 바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대신, 인스턴스의 복제품을 옮겨서 다른 지역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채택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기존에 운영하던 서버를 그대로 이미지화 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따라서 인스턴스를 우클릭 하여 [이미지] - [이미지 생성]을 눌러서 이미지를 만드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이름을 설정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 이후에 약 10분 가량이 지난 뒤에는 [AMI] 탭으로 이동하셨을 때 이미지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 또한 지역 별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오하이오]의 AMI로 생성되어 있답니다. 여기에서 멘붕이 오실 수 있는데요. 침착하세요. AMI는 다행히도 말 그대로 데이터에 불과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우클릭 하여 [AMI 복사]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후에 다음과 같이 AMI를 서울(Seoul) 지역으로 복사하시면 됩니다.




  복사 이후에는 해당 복사된 지역(서울)으로 이동하여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AMI] 탭에서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려면 5분 이내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복사된 이미지로 인스턴스 새롭게 만들기 ※


  이제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에 인스턴스를 만들겠습니다. 복사된 이미지로 인스턴스를 만들게 되면, 기존의 서버를 그대로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그대로 서버를 이전한 것과 같습니다.



  다만 인스턴스를 만들 때는 [나의 AMI] 탭으로 가서 아까 자신이 만들어 준 이미지를 선택해서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해당 AMI로 인스턴스를 만들겠습니다.



  확인해 보시면 성공적으로, 기존의 서버 인스턴스가 새로운 지역(Region)에서 돌아가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남아 있는 데이터 삭제하기 ※


  서버 이전이 완료되었으면, 기존의 지역에 있던 모든 서버 정보 등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정리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사용되지 않는 서버를 계속 가지고 있으면 불필요한 과금이 청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저는 다음과 같이 인스턴스를 [종료]하여 삭제해주었습니다.



  이후에 [AMI] 탭에서 이미지 파일도 삭제해줍니다.



  그리고 스냅샷 및 기타 데이터를 전부 제거하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끔히 다 지운 상태로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본적으로 AWS VPC 안에 다양한 AWS 서비스를 포함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AWS VPC를 제거하고자 할 때 여러 개의 서비스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제거가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AWS VPC 안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들을 통째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거 순서를 고려하여 제거하기 ※


  기본적으로 VPC, [보안 그룹] 등을 지우기 전에는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EC2나 RDS와 같은 실제 서비스들을 먼저 제거하셔야 합니다. 저는 지난 포스트(http://ndb796.tistory.com/224)에서 EC2와 RDS를 하나의 VPC 안에 넣어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이렇게 만들어진 시스템 구성을 통째로 제거해 볼 것입니다. 당연히 EC2와 RDS를 먼저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EC2 관리 화면에서 인스턴스부터 [제거] 해주겠습니다. 제거할 때는 [인스턴스 상태] 탭에서 [종료]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실제로는 인스턴스를 종료했을 때 완전히 제거가 이루어집니다.



  인스턴스를 종료하면 자동으로 볼륨 저장소가 제거됩니다. 당연한 겁니다.



  이후에 해당 인스턴스의 공인 IP를 위해 사용되던 탄력적 IP가 있다면 [탄력적 IP] 탭에서 이 또한 제거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주소 연결 해제]를 먼저 진행해 주시고, [주소 릴리즈]까지 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EC2가 완전히 VPC에서 제거되었으므로 RDS 또한 지워주도록 하겠습니다. AWS RDS 서비스에서 [데이터베이스] 탭에 가서 우리 VPC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찾아서 [수정]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삭제 방지] 기능이 적용되기 때문에 이를 비활성화 처리 해주셔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삭제 방지 비활성화 처리를 [즉시 적용] 해주시면 됩니다.



  이후에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삭제] 버튼을 눌러 삭제해주세요.



  데이터베이스는 EC2보다 삭제하는 과정이 귀찮습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상당수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는 모두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delete me]라는 문구를 입력하여 삭제를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이제야 VPC로 돌아오셔서 VPC를 삭제 처리할 수 있습니다. VPC 안에 포함되어 있는 EC2 및 RDS가 모두 제거된 상태라면 어렵지 않게 VPC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Delete VPC] 버튼을 눌러서 VPC를 제거해보세요.



  만약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이 존재하는 경우 VPC를 곧바로 제거하실 수 없습니다. 이럴 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먼저 제거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먼저 제거해주세요.



  이제 VPC를 다시 제거해주시면 안정적으로 제거가 완료됩니다.



  VPC를 지우면서 연관된 오브젝트를 한꺼번에 지우도록 처리하시면 깔끔하게 제거가 완료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