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잡이개발자

728x90
반응형

  슬랙(Slack)에서는 슬랙 앱(Slack App) 기능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슬랙 앱을 간단히 사용해 보며 슬랙 앱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슬랙 앱을 관리하고자 한다면 [Manage apps] 탭으로 이동하여 슬랙 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떠한 앱도 설치가 안 되어 있습니다. [Browse the App Directory]에 들어가서 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 웹 페이지 환경에서 슬랙 앱을 검색하여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가장 먼저 지피(Giphy)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피는 자동으로 이미지를 검색하여 슬랙 채널에 이미지를 출력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설치 이후에는 설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모든 GIF 이미지를 찾아오도록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설치 이후에는 [Apps] 탭에서 설치된 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지피(Giphy)를 사용할 때는 단순히 /giphy {이미지 이름}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할 일 목록을 관리해주는 투두이스트(Todoist)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두이스트는 관련 사이트에서 설치를 진행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법 글에 있는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연동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연동까지 마치고 나면 다음과 같이 /todoist {해야 할 일} 명령어 형태로 투두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실행 결과 다음과 같이 해야 할 일 항목이 작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슬랙(Slack) 기본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슬랙을 시작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면 슬랙을 바르게 이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개인 프로필 설정을 하는 방법부터, 원하는 기능에 대한 알람을 적절히 받고 방해 금지 모드(Do not disturb mode)를 사용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맨 처음에 슬랙 워크스페이스에 초대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등장합니다. 맨 처음에는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부터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Save Your Account' 버튼을 눌러서 초기 정보를 입력합니다.


※ 프로필 설정 ※



  다음과 같이 이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가장 먼저 프로필 설정을 진행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팀 구성원에게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Profile & account' 탭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이후에 프로필 편집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프로필 사진을 설정해보았습니다.




※ 슬랙 워크스페이스 기본 설정 ※


  슬랙 워크스페이스 자체에 대한 기본 설정을 하고자 한다면 관리자(Administration) 탭에서 'Workspace settings'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워크스페이스 설정 페이지에서는 워크스페이스의 아이콘(Icon)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위와 같이 워크스페이스의 아이콘도 설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다.


※ 슬랙 알림 설정 ※


  슬랙 알림 설정을 할 때는 Preferences 탭에 들어가서 진행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알림이 발생했을 때 우리 컴퓨터에서 바로 알림을 확인할 떄는 'Enable desktop notifications'를 누르시면 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경우 위와 같이 알림을 허용하여 알림을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알림을 받을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 쪽지(Direct Messages) 혹은 멘션 등에 대해서만 알림을 받도록 했습니다.



  또한 방해 금지(Do Not Disturb) 모드를 설정하면 특정한 시간에 대해서는 알림(Notification)을 띄우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슬랙(Slack)을 이용하면 다양한 채널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때 채널에 보낼 수 있는 메시지는 굉장히 다양한데요. 단순히 문자열만 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소스코드, 멘션(Mention), 이모티콘 등의 다양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른 사용자 언급하기 ※


  다른 사용자를 언급할 때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



  메시지 창에서 오른쪽에 있는 멘션 기호 @를 이용하여 특정 대상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태그(Tag)와 같습니다.


※ 이미지 첨부 ※


  슬랙에서 이미지 첨부는 매우 간단합니다. 단순히 원하는 이미지를 복사하여 클립보드(Clipboard)에 담은 이후에 슬랙 대화 창에서 붙여넣기(Paste)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코드 붙여넣기 ※


  코드를 붙여넣고자 할 때는 왼쪽의 (+) 버튼을 눌러서 'Code or text snippet' 탭을 누르시면 됩니다.




  소스코드를 올릴 때는 소스코드의 언어 유형 등을 함께 입력하여 소스코드를 안정적으로 기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로드가 된 소스코드에 대해서는 'More actions' 탭에서 'View details'로 들어가면 구체적인 소스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모티콘 전송하기 ※


  이모티콘을 전송하고자 할 때는 텍스트 입력창의 오른쪽에 있는 이모티콘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또한 특정한 댓글에 대해서 감정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를 누르듯이 감정을 표시하는 거예요.




※ 이모티콘 추가하기 ※


  슬랙(Slack)은 원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한 이모티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add custom emoji her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모티콘 추가 페이지로 이동해서 실제로 특정한 이미지를 추가하면 됩니다.



  저는 한 번 패럿(Parrot) 이미지를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위와 같이 저는 .gif 형태로 이미지를 저장했습니다.



  업로드 이후에 저장(Save)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이 이모티콘이 등록됩니다.



  이후에 슬랙에서 편하게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슬랙(Slack)에서 채널(Channel)을 잘 관리하면 다양한 채널에서 효율적으로 팀원들이 소통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널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팀을 막론하고 general 채널, random 채널은 무조건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채널들의 사용 용도는 팀마다 대부분 흡사합니다. 저는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해보겠습니다.


  ▶ general: 일반적인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공간

  ▶ random: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는 공간

  ▶ develop: 개발 관련 내용을 다루는 공간

  ▶ recruit: 신입사원 채용 관련 내용을 다루는 공간


  한 번 다음과 같이 새로운 채널을 생성해서 채널을 관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Channels' 탭 오른쪽에 있는 (+) 버튼을 눌러서 채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저는 위와 같이 develop이라는 이름으로 채널을 생성해보았습니다.



  또한 이어서 recruit 채널을 생성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채널이 구성됩니다. 이 때 우리가 만든 슬랙 워크스페이스에 초대 된 사람은 모든 채널이 다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Channels' 탭을 클릭하여 채널을 검색해 원하는 채널로 이동하여 채널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위와 같이 general 채널로 이동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general 채널은 공지사항 전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이어서 채널에 올라 온 첨부 파일 확인, 사용자 초대 등을 하기 위해서는 'View channel details'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채널 정보 탭에서 'Invite more people...' 버튼을 눌러서 새로운 사용자를 채널에 초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채널 설정 탭에서는 채널 음소거(Mute) 등의 작업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슬랙(Slack)은 굉장히 많은 회사와 동아리 등의 집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협업 메신저 도구입니다. 쉽게 말하면 회사용 카카오톡(Kakao Talk)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카톡은 정말 편하고 익숙한 앱이지만, 회사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기능이 매우 한정적입니다. 하지만 슬랙은 정말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을 목적으로 한다면 가장 강력한 메신저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슬랙은 그다지 복잡한 협업 도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단순히 사용하고자 한다면 강좌까지 보지 않아도 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슬랙을 보다 완벽히 다루고자 한다면 슬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수록 유리합니다.


  ▶ 슬랙(Slack) 공식 사이트: https://slack.com/


  슬랙은 위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슬랙에서 하나의 프로젝트(Project)를 워크스페이스(Workspace)라고 말합니다.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다음의 경로에 접속하면 됩니다.


  ▶ 슬랙(Slack) 워크스페이스 생성 경로: https://slack.com/create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할 때는 관리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후에 자신의 이메일 주소로 가면 인증 코드가 보입니다. 이를 슬랙에 기입하면 됩니다.



  저는 팀 이름을 'Slack Tutorial'이라고 지어보았습니다.



  또한 저는 Education이라고 프로젝트의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



  또한 처음에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프로젝트 구성원을 추가하라는 페이지가 나오는데, 저는 스킵(Skip)을 해주겠습니다.



  이후에 기본적으로 채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기본 채널이 존재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한 번 가상의 사용자를 초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Setting) 탭에서 초대(Invite)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한 번 제 다른 이메일 주소로 초대 메일을 보내보겠습니다. 이제 한 번 메일을 받은 이메일 계정으로 로그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위와 같이 새로운 계정으로 가입을 해보았습니다.



  가입 이후에는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과 오른쪽을 서로 다른 브라우저로 로그인 해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이 왼쪽과 오른쪽 사용자가 모두 education 채널에서 소통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깃(Git) 프로젝트에서는 README.md 파일을 이용해 소개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md는 마크 다운(Markdown)의 약자이며 최근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텍스트 양식입니다. 매우 빠르게 핵심적인 내용을 작성하는 편집 양식이라는 점에서 깃 허브(Git Hub) 또한 공식적으로 이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우리의 깃 저장소에서 README.md 파일을 생성하여 프로젝트 소개글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위와 같이 README.md 파일을 작성하여 간단히 샵(#)을 붙여 글머리를 작성해 봅시다. #은 글머리를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 



  이제 이러한 내용을 푸시(Push)해서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성공적으로 소개글 정보가 깃 허브(Git Hub)에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크 다운은 정말 편집(Edit)을 쉽게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다음과 같은 예제들도 확인해 봅시다.


# 글머리


소스코드 블록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c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

```


링크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주소](https://blog.naver.com/ndb796)


순서 없는 목록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깃 강좌

  * 깃 Clone

  * 깃 Pull

  * 깃 Commit

    * 깃 Commit ①

    * 깃 Commit ②

  * 깃 Push


인용 구문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공부합시다.' -나동빈-


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름|영어|정보|수학

---|---|---|---|

나동빈|98점|87점|100점|

홍길동|97점|78점|93점|

이순신|89점|93점|97점|


강조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치킨** 먹다가 ~~두드러기~~났어요. ㅠㅠ



  푸시(Push) 이후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깃(Git)에서 로그(Log)를 제대로 다룰 수 있으면 깃과 관련한 처리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히스토리(History)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로그 출력 명령어인 git log를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깃(Git) 로그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면 다양한 옵션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stat: 각 커밋에 따른 통계 정보를 출력합니다.

  ▶ graph: 브랜치(Branch)와 병합(Merge)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출력합니다.

  ▶ p: 커밋에 적용된 구체적인 사항을 출력합니다. 

  ▶ pretty: 지정된 형식으로 커밋 정보를 출력합니다.



  먼저 stat 옵션을 사용한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각 커밋마다 통계 정보를 출력합니다.



  또한 위와 같이 p 옵션으로 커밋에 적용된 구체적인 사항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3이라는 옵션을 추가해 최근 3개의 정보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pretty 옵션으로 커밋 정보를 특정한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형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h: 커밋(Commit) 해시 값을 출력합니다.

  ▶ an: 작성자 이름을 출력합니다.

  ▶ ar: 작성 날짜를 출력합니다.

  ▶ ae: 작성자 이메일을 출력합니다.

  ▶ s: 커밋 주제를 출력합니다.

  ▶ cn: 커미터 이름을 출력합니다.



  위와 같이 graph 옵션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결과를 확인해 보면 언제 브랜치가 생성되었고, 언제 병합이 이루어졌는지를 콘솔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추가)


  특정 파일에 대한 로그만을 확인하고 싶다면 git log {파일 이름}의 형태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깃(Git)으로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말 그대로 네트워크 공간 어딘가에 존재하는 또 다른 컴퓨터를 원격 저장소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원격 저장소를 여러 개 가질 수도 있고, 각 원격 저장소를 서로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올 때는 풀(Pull), 데이터를 보낼 때는 푸시(Push)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우리는 깃 허브(Git Hub)를 원격 저장소로 하여 프로젝트를 구축했으므로, 기본적인 원격 저장소는 깃 허브(Git Hub)가 됩니다.



  기본적으로 git remote 명령어로 원격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고자 할 때는 git remote add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격 저장소를 지칭하는 이름을 바꾸고자 할 때는 git remote renam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깃 명령어를 특정한 원격지 저장소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git log, git merge 등 다양한 명령어를 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원격 저장소를 제거할 때는 git remote rm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깃(Git)에서 브랜치(Branch)를 다룰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충돌(Conflict)이 발생하면 바로 병합(Merge)을 수행할 수는 없고, 충돌을 해결한 뒤에 병합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한 번 충돌이 발생하는 일을 가정해봅시다. 충돌은 쉽게 말하면 하나의 파일을 여러 명이 수정한 경우를 의미해요.



  위와 같이 하나의 브랜치를 만들어서 작업을 수행해 봅시다.



  특정한 파일에 하나의 함수 div()를 추가했습니다.



  위와 같이 커밋(Commit)까지 진행해줍니다.



  이제 마스터 브랜치로 이동해서 똑같은 파일을 다른 내용으로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로그(Log)까지 확인해보면 현재 마스터 브랜치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마스터 브랜치에 대한 정보만 출력됩니다.



  반대로 develop 브랜치를 기준으로 확인하면, 마스터 브랜치에 대한 정보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제 한 번 마스터 브랜치에서 develop 브랜치를 병합(Merge)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충돌(Conflict)이 발생했다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충돌이 발생한 소스코드를 열어서 확인해 보시면 서로 다른 두 개의 브랜치에 대한 정보가 출력됩니다. 저는 기존의 마스터 브랜치 소스코드를 따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파일을 저장해주신 이후에 커밋(Commit)까지 진행해 주시면 성공적으로 병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음과 같이 로그를 찍어 보면, 마스터 브랜치가 develop 브랜치를 병합한 형태가 됩니다.



  이제 병합이 완료된 develop 브랜치는 제거해주고 푸시(Push)를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깃(Git)에서 브랜치(Branch)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깃(Git)은 동시에 여러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브랜치(Branch)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로 다른 브랜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서로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마음 놓고 서로 다른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Branch 동작 과정.xml


  브랜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은 예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Git 저장소를 만들면 자동으로 마스터(Master) 브랜치가 생성됩니다. 이 브랜치는 일반적으로 배포가 가능한 수준의 안정화된 버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별도의 브랜치를 만들어 사용하고자 한다면 체크아웃(Checkout) 명령어를 이용해야 합니다.



  한 번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우리는 배포 버전이 Master Branch에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은 Develop Branch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버그가 발견되어 빠르게 버그를 수정해야 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해봅시다. 이 때 버그 수정은 Bug Fix Branch에서 진행하는 겁니다. 그리고 버그가 수정되는 대로 바로 Master Branch에 수정 내역을 합치고, 기능 또한 합쳐주어 결과적으로 새로운 배포 버전이 탄생하도록 개발을 진행하는 겁니다.


  그러면 합치기(Merge)가 수행되기 전까지는 안정적으로 배포가 이루어지고 있다가, 모든 기능이 합쳐진 이후에 다시 배포할 수 있으므로 개발의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게 되는 겁니다.


  ▶ 통합 브랜치: 배포가 가능한 수준의 브랜치로 일반적으로 마스터(Master) 브랜치를 의미합니다.

  ▶ 토픽 브랜치: 특정한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브랜치로 일반적으로 마스터(Master) 브랜치 이외의 다른 브랜치를 의미합니다.


※ 브랜치 사용해보기 ※


  브랜치를 만들 때는 git branch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저는 develop이라는 이름의 브랜치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특정한 브랜치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git checkout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체크아웃(Checkout) 이후에는 HEAD가 해당 브랜치로 이동하게 됩니다.



  위와 같이 체크아웃 이후에는 HEAD가 develop 브랜치로 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소스코드에 새로운 함수 mul()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위와 같이 커밋(Commit)을 진행해 주시면 현재 HEAD가 가리키고 있는 브랜치인 develop 브랜치에서 커밋이 진행됩니다.



  git log 명령어로 로그를 확인해 보시면 master 브랜치의 윗 부분에 develop 브랜치가 존재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마스터 브랜치로 이동해서 develop 브랜치를 병합(Merge)할 수 있습니다.



  병합 결과 위와 같이 마스터 브랜치와 develop 브랜치가 동일한 커밋 내역을 가지게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푸시(Push)까지 진행해 주시면 원격지 저장소인 Git Hub에도 반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병합이 끝난 브랜치는 git branch 명령어에서 d 옵션을 넣어 제거할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